개발 53

[Spring - JPA] 1. JPA 소개

*본 글은 JPA 에 대해 공부(책, 강의) 하고 쓴 글입니다. 내용 요약 JPA 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간을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로, 객체의 필드에 대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삭제, 수정, 조회를 SQL 작성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JAVA API 이다. (Java Persistence API) - JPA는 entityManager를 통해 객체를 관리한다. - JPA는 JPQL 을 사용하여 객체를 기반으로한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 - JPA 는 내부적으로 database 와 통신하기 위해 JDBC 를 사용한다. JPA 를 사용함으로써 직접 SQL을 작성해 객체를 저장해야하는 시절의 어려움 (객체들마다 다르게 작성, 상속관계, 연관관계의 객체들은 별도의 맵핑, 객체간의 비교 ..

개발/java 2024.02.03

[Spring - DB] 1. JDBC 이해

본 글은 Spring Database 관리에 관한 강의를 수강한 후 작성한 정리입니다.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를 통해 다양한 Database 들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접근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1. JDBC 이해 Java Database Connectivity 클라이언트, 즉 브라우저는 보통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작업이나 리소스를 요청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진행하는 절차 1. 커넥션 연결 : 주로 TCP/IP 사용 2. SQL 전달 :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DB가 이해할 수 있는 SQL을 커넥션을 통해 DB 로 전달 3. 결과 응답 예전에는 데이터베이스마다 위의 방법..

개발/java 2024.01.07

[Spring 기본] 6. 의존관계 자동 주입

생성자 수정자 (setter) 필드 주입 메소드 주입 생성자 주입 사용하기 추천 final 키워드와 함께 사용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필드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생성자에서 혹시라도 값이 설정되지 않는 오류를 컴파일 시점에 막아준다. 롬복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getter, setter 어노테이션 제공 @RequiredArgsConstructor 롬복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RequiredArgsConstructor 기능을 사용하면 final이 붙은 필드를 모아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코드에는 보이지 않지만 실제 호출 가능하다.) 최근에는 생성자를 딱 1개 두고, @Autowired 를 생략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여기에 Lombok 라이브러리의@RequiredArgs..

개발/java 2024.01.06

[Spring 기본] 5.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컴포넌트 스캔 Configuration 클래스에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스프링 빈으로 등록할 객체들을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그러면 컨테이너에 빈으로 등록이 된다. 이전에는 직접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같은 식으로 의존관계가 주입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불가능해졌다. 자동의존관계 주입 클래스의 생성자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빈 중 해당 파라미터 타입에 해당하는 빈이 자동으로 의존관계 주입이 된다.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Repository.class) 의 결과를 주입한다고 보면 된다. 타입이 여러 개인 경우는 추후 설..

개발/java 2024.01.06

[Spring 기본] 4. 싱글톤 컨테이너

4. 싱글톤 컨테이너 1. java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용 언어 요청이 있을 때마다 새로 new 를 해서 객체를 반환하는 문제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매번 객체가 새로 생긴다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스레드가 하나 생기고, 독립적인 인스턴스가 생기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2. 싱글톤 패턴 싱글톤 패턴을 이용하여, 하나의 객체를 가지고 요청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생성자 private 화, 그리고 static 멤버 변수로 미리 생성해둔 후 getInstance() 로 반환. 3.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데 코드를 많이 필요로 한다.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현체에 의존하게 된다. DIP 위반 따라서 OCP 도 위반하게 된다. 유연한 테스트를 하기 어렵다.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

개발/java 2024.01.06

[Spring 기본] 3. Spring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1.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 = 스프링 컨테이너 @Configuration annotation이 붙은 AppConfig 를 구성정보로 사용한다. AppConfig 에서 @Bean 어노테이션이 뭍은 메소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B.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따라서 AppConfig 에서 객체를 찾아오는 대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 한다. AppConfig에서 MemberService 의 구현체를 반환하는 메소드 applicationContext.getBean(, 반환받을 클래스 타입) 함수로 스프링을 받아온다. 2.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되는 과정 Appl..

개발/java 2023.12.21

Input 찬찬히 뜯어보기. (BufferedReader와 InputStreamReader?)

Java 에서 Input을 받기 위한 방법 1. BufferedReader Class 서론 저는 C, C++ 로 코드를 많이 짭니다. C, C++은 몇 단계만 거치면 바로 시스템 콜로 read, write 호출하는게 보여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아는게 쉬웠는데 java 는 왜 버퍼를 만들까… 하는 답답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을 내어 원리를 파악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BufferedReader Class BufferedReader class 는 문자들의 연속을 입력받을 때 사용하는 간단한 클래스입니다. 코딩 테스트에서 속도를 빠르게 한다고 하여 많이 사용하는 클래스입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사용됩니다. BufferedReader 클래스는 안에 InputStreamReader를 반드시 사용해야할까요?..

개발/java 2023.12.11

[Spring 기본] 2. 실제 코드에서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원리

1. 그냥 java 코드를 사용할 때 객체 지향의 원리에 맞게, 역할과 구현을 나누어 분리해봅시다. 회원 가입을 위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프로그램을 먼저 작성해봅시다! 회원 도메인 도메인 간 협력관계 : 기획자와 개발자가 모두 합의하에 참고하는 문서입니다. 클래스 설계 : 개발자가 전체적인 클래스를 설계합니다. public interface MemberService { void join(Member meber); Member findById(int id); }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실제 구..

개발/java 2023.12.08

[Spring 기본] 1.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어떻게 스프링이 등장하게 되었는지 짤막하게 정리한 글입니다. 실제로 '봄'이라는 뜻에서 spring 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 EJB 지옥 - 예전 개발자들에게 있어 사용하던 EJB는 이론은 좋았으나 구현은 너무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바로 돌아가자는 움직임이 생겼습니다. EJB에서 Entity Bean - ORM 기술을 사용중이었는데요, 너무 힘들어하던 개발자 2명이 각각 오픈소스를 개발했습니다. Hibernate : EJB 엔티티빈 기술을 대체. JPA 새로운 표준 정의 Spring framework : EJB 컨테이너 대체, 단순함. 사실상 표준 기술 그 후 EJB에서는 Hibernate 를 만든 개발자 데려와서 JPA를 만들었습니다. JPA: 표준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개발/java 2023.12.08

javascript의 .map 파일

.map 파일은 본론부터 말하자면 개발자가 디버깅하기 편하게 원본파일 - 특정 코드와의 매핑 파일로써 존재하는 파일이다. 특정 코드는 TypeScript 일수도, UglifyJS, minifyJS일수도 있다. (*UglifyJS: 난독화된 자바스크립트, minifyJS: 압축된 자바스크립트) 임베디드에서도 map 파일은 전역변수,함수의 주소를 기록해놓은 파일로써 존재한다. javascript도 그런 개념으로 map 파일을 가지고 있다. javascript는 에러가 발생했을 때 특정 행, 칼럼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는다. 따라서 원본과의 매핑파일인 source map 을 이용해서 디버깅하면 편한 것이다. 더 정확하게 설명한 source map은 압축된 코드와 압축된 코드를 Base64 기반으로 매핑한 데이..

개발/javascript 2023.11.19
728x90
728x90